올해 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출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성장세가 전망됩니다. 특히 중국과 일본 시장에서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국내 생산업체들의 수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수산해양개발원(KMI)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국내 김 생산량은 약 68만 톤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4년 59만 톤 대비 약 15% 증가한 수치입니다. 생산량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양식 기술의 발전과 양식 면적 확대, 그리고 기후 조건의 개선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수출 시장에서는 특히 중국과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산 김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김 수출액은 약 7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5년에는 8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는 한국산 조미김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고급 마른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국내 김 산업이 직면한 과제도 있습니다. 생산 비용 상승과 환경 규제 강화, 그리고 국제 경쟁 심화 등이 주요 도전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자국 김 생산 기술 발전으로 인한 경쟁 심화는 장기적으로 한국 김 산업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에서는 품질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 가치 제고, 그리고 신시장 개척 등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김 국제거래소 B2B 플랫폼의 출범은 한국 김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